헌혈 전에 필수 헌혈관련 안내문을 읽고 헌혈기록카드(전자문진)를 작성합니다.
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제시하여야 헌혈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.
사진이 붙어 있어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주민등록증, 여권, 학생증, 그 밖의 신분증명서
정부24 등의 앱을 이용한 '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' 및 이동통신사 3사의 모바일 본인인증 플랫폼을 통한 '모바일 운전면허 확인서비스'(2021.9.13.부터 2025.7.24.까지 한시적 임시허가)를 헌혈자의 신분 확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신분증 확인으로 헌혈자는 헌혈기록 및 검사결과를 정확히 관리할 수 있으며, 수혈자는 타인명의의 대리헌혈 및 검사목적의 헌혈로부터 안전한 혈액을 수혈받게 됩니다.
혈액정보관리시스템(BIMS)을 통해 과거헌혈경력과 그 검사결과를 조회합니다.
헌혈유보군은 헌혈을 일정기간 보류해야 하는 헌혈자로 과거 혈액검사에서 한 번 이상 양성결과가 있었던 분들은 헌혈유보군으로 등록됩니다.
헌혈자는 헌혈 종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, 문진간호사가 당일 혈액제제 수급상황에 따라 필요한 헌혈 종류를 안내드릴 수 있습니다.
65세 이상인 자의 헌혈은 60세부터 64세까지 헌혈한 경험이 있는 자에 한함
연 5회 가능
혈소판성분헌혈 |
성분채혈기를 이용하여 혈소판만을 채혈하고, 나머지 성분은 헌혈자에게 되돌려주는 헌혈
|
---|---|
혈장성분헌혈 |
성분채혈기를 이용하여 혈장만을 채혈하고, 나머지 성분은 헌혈자에게 되돌려 주는 헌혈
|
혈소판혈장성분헌혈 |
성분채혈기를 이용하여 혈소판과 혈장 성분을 채혈하고, 나머지 성분은 헌혈자에게 되돌려 주는 헌혈
|
65세 이상인 자의 헌혈은 60세부터 64세까지 헌혈한 경험이 있는 자에 한함
성분헌혈(혈장, 혈소판, 혈소판혈장)이 연 24회인 경우 혈소판성분헌혈, 혈소판혈장성분헌혈 참여 불가
헌혈 후 휴식공간이 준비되어 있으며 음료와 다과를 제공해 드립니다.
혈액관리본부 홈페이지 및 헌혈앱 레드커넥트에서 본인확인 후(휴대폰 인증, 아이핀 인증)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전혈을 하였을 경우 8주 후, 성분헌혈을 하였을 경우 2주 후 같은 요일부터 다음 헌혈이 가능합니다. 단, 과거 1년 이내에 전혈헌혈 횟수가 5회이면 전혈헌혈이 제한되며, 과거 1년 이내에 성분헌혈 횟수가 24회일 경우 혈소판성분헌혈, 혈소판혈장성분헌혈이 제한됩니다.